분류 전체보기
-
ETF 수익과 세금투자/ETF 관련 정보 2021. 8. 12. 19:00
투자를 하는 이유는 수익을 내기 위해서입니다.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합니다. ETF를 투자할 때 수익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몇 가지 존재합니다. 그것은 낮은 수수료와 절세입니다. 1. ETF 총보수비용 첫 번째는 ETF 운용보수입니다. ETF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하며 주식과 펀드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펀드에는 운용보수, 판매보수, 수탁보수 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같은 전략을 사용하는 ETF라면 더 낮은 수수료인 ETF를 선택하는는 것이 수익률을 올리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정확히는 ETF의 투자설명서에 적혀있는 총보수비용(TER; Total Expense Ratio)를 참고해야합니다. 2. ETF 종류와 세금(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두 번째는 E..
-
적립식 투자의 성공 조건, 용기와 인내심투자/장기투자 2021. 8. 10. 19:30
적립식 투자라는 것이 있다. 목돈 마련을 위해 매월 50만원 또는 100만원씩 적금 붓듯이 펀드에 투자해 나가는 방식이다. 이러한 적립식 투자는 주식형 펀드와 같은 공격적인 펀드로 하는 게 좋다. 지나치게 공격적인 펀드는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라면 주식과 채권이 반반씩 들어가는 혼합형 펀드를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적립식으로 펀드에 투자하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 주가의 등락과 관계없이 장기간 투자하라 어떤 투자자가 2007년 가을부터 한 달에 50만원씩 주식형 펀드로 적립식 투자를 시작했다고 가정하자. 당시는 종합주가지수가 2,000을 넘어 주가가 최고 수준에 있던 시기였다. 따라서 펀드가격이 비싸고 50만원으로 살 수 있는 펀드수량도 소량일 수밖에 없다. 보통 하나의 주식형 펀드에는 주식..
-
1928년부터 2020년까지 S&P 500 연 수익률투자/참고자료 2021. 8. 7. 19:30
1928년부터 2020년까지 S&P 지수 연평균 수익률(배당금 재투자가 없는 경우)은 5.94%입니다. 그렇다면 연평균 수익률이 약 6%였으니 93년동안 수익률이 6%이었던 적이 많았을까요? 결론적으로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아래 표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연평균 수익률 횟수 10% 이상 47번(50.5%) 0% ~ 10% 16번(17.2%) -10% ~ 0% 12번(12.9%) -20% ~ -10% 12번(12.9%) -20% 이하 6번(6.5%) 수익이 난 해는 총 93년 중 63번(67.7%)이었고, 손해가 난 해는 30번(32.3%)이었습니다. 지수가 우상향 해왔으니 당연히 손해보다 수익 발생 년도가 더 많았습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수익률은 들쭉날쭉합니다. 주식 시장의 연평균 수익률은 ..
-
"모르면 손해"…두고두고 도움 되는 ETF 투자 3가지 '꿀팁'투자/ETF 관련 정보 2021. 8. 5. 19:00
미국본토 ETF냐, 국내상장 미국 ETF냐 1. 수익 833만원보다 적으면 '직구' 2. 장 초반·막판 거래는 손해 볼 수도 3. 총보수 외 기타비용도 따져보라 (1) 국내 ETF, 미국 ETF 중 뭘 살까 나스닥지수만큼 수익을 내는 ETF에 투자하려는 투자자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나스닥 ETF는 한국에도 상장돼 있지만 미국 증시에도 있다. ETF는 추종하는 지수만큼 이익을 낸다. 같은 나스닥 ETF라면 그게 한국에 상장됐든 미국에 상장됐든 거의 비슷한 이익을 낸다는 의미다. 하지만 세금과 환율에 따라 투자자가 손에 쥐는 수익은 달라진다. 최종 투자 수익률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은 세금이다. 미국 상장 ETF는 미국 주식과 똑같이 세금을 낸다. 매매 차익의 250만원까지는 양도소득세를 떼지 않는..
-
2021년 7월 포트폴리오투자/투자보고서 2021. 8. 4. 20:00
2021년 7월 포트폴리오 자산군 비율 개별종목 비율 매수 종목 없음 매도 종목 없음 2021년 7월 월 수익 계좌잔고 (6월과 7월) 삼성전자, KT&G, TIGER TOP 10, Emerging market 주식들은 크게 하락했고, 미국 지수, 리츠, 채권, 금은 상승했습니다. 누적수익률 이번 달 수익률은 계좌는 +2.31%, S&P 500 +2.27%로 이번 달은 근소하게 S&P 500 지수보다 수익이 높았습니다. 계좌누적지수는 128.15에서 131.12로 상승했습니다. 변환 S&P 500 지수는 지난달 147.48에서 이번달 150.83로 상승했습니다. 올해 계좌 수익률은 9.24%이고, S&P 500 수익률은 17.02%입니다. 계좌 지수는 2020..
-
액티브 펀드 vs 패시브 펀드 - SPIVA (S&P Indices Versus Active)투자/장기투자 2021. 8. 3. 19:00
SPIVA(S & P Indices Versus Active) SPIVA는 S & P Indices Versus Active의 약자이며 S&P 500 지수(베타 투자)와 액티브 펀드(알파 투자) 성과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액티브 펀드와 패시브 펀드 미국 SPIVA 왼쪽은 2016년 6월에 발표한 결과입니다. 1년동안 84.62%, 5년 동안은 91.91%가 S&P 500 지수보다 액티브 펀드의 성과가 좋지 못했습니다. 오른쪽은 2020년 6월에 발표한 결과입니다. 1년동안 63.17%, 5년 동안은 77.97%가 S&P 500 지수보다 액티브 펀드의 성과가 좋지 못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5년 동안 S&P 500 지수보다 성과가 좋은 펀드의 비율은 22.03%입니다. 이 결과에서 ..
-
피터린치와 마젤란 펀드투자/장기투자 2021. 7. 31. 19:30
투자의 대가라고 알려진 피터린치는 피델리티 자산운용사에서 1977년부터 1990년까지 마젤란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매니저로 활동했습니다. 유명한 일화는 13년간 수익률이 총 2800%에 달했고 연평균 수익률은 약 29%에 달했습니다. 놀라운건 한해도 손실이 난 적이 없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구 많은 투자자가 손해를 보았다고 합니다. 마젤란 펀드의 성과 마젤란 펀드를 1년 단위로 끊었어서 수익을 측정해보면 손해가 난 해가 없습니다. 성과를 보면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이 29.22%에 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1987년에 가장 큰 낙폭이었던 최대 낙폭(maxium drawdown)은 무려 -33.09%입니다. 1987년 9월부터..
-
공포에 사라(Fear and Greed Index와 S&P 500)투자/참고자료 2021. 7. 29. 19:30
Fear and Greed Index 라고 해서 시장 상태가 탐욕인지 공포인지를 참고할 수 있는 보조 지표입니다. 2010년 중반부터 2020년까지 Fear and Greed Index와 S&P 500 지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Extreme Fear 이후에 지수 상승률이 얼마나 있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010년 중반부터 2013년 중반까지 Fear & Greed Index 그리고 Extreme Fear 와 S&P 500 상승률 https://money.cnn.com/data/fear-and-greed/ Extreme Fear 중 가장 낮은 곳에 도달한 후에 주가지수는 2011년에는 +21%, 2012년에는 +15% 반등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3년부터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