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정리
-
부동산과 주식의 장기수익률 비교리포트 정리/2021년 2021. 7. 27. 19:30
부동산과 주식의 장기 수익률을 비교한 리포트 내용입니다. 가계 자산 형태 우리나라 가계의 보유자산을 보면 실물자산은 약 75%, 금융자산은 약 25%를 차지하고 있는 것에 비해 미국은 실물자산은 약 25%, 금융자산은 약 75%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 중 주식은 약 16%, 펀드는 4%로 합이 20%, 예금이 50%를 차지하고 있고, 미국의 경우는 주식 약 34%, 펀드 약 13%로 합은 47%정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내 집 하나는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금융자산보다는 실물자산인 부동산 자산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식에 투자하면 패가 망신한다'라는 말도 있고 펀드에 투자해 대부분 좋지 못한 수익을 내고 환매 하는 나쁜 경험도 있다..
-
리스크-패리티로 만든 최적의 자산배분 전략 2리포트 정리/2021년 2021. 7. 25. 19:30
리스크-패리티로 만든 최적의 자산배분 전략 II. 자산배분의 원리 자산배분의 효과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의 원리와 유사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서로 반대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자산으로 구성) 투자의 목적 중 하나는 시간이 지난 후 내가 적립했던 금액보다 더 큰 규모로 돌려받는 것이다.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 큰 변동성을 겪어야 한다. 자산배분의 목적은 다양한 자산에 투자해 투자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조절하고, 투자 수익률의 변동성 확대로 인해 겪게 되는 고통의 폭과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자산배분이 추구하는 효과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의 원리와 유사하다. ‘노이즈 캔슬링’은 외부의 잡음을 마이크로 입력받아 해당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는 주파..
-
리스크-패리티로 만든 최적의 자산배분 전략 1리포트 정리/2021년 2021. 7. 24. 19:30
리스크-패리티로 만든 최적의 자산배분 전략 I. 자산배분을 해야 하는 이유 ‘응답하라 1988’ 택이 아버지는 어떤 선택을 해야했을까 (자산배분의 첫걸음은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고, 불확실성은 나누는 것) 드라마 ‘응답하라 1988’ 16화에서 김성균의 병문안을 간 택이 아버지(최무성)는 KOSPI가 1,000p를 돌파했다는 뉴스를 듣고 ‘지금이라도 주식투자를 해야 하는 지’에 대해 성동일과 김성균에게 자문을 구한다. 김성균은 주식투자를 추천한다. 그리고 손주를 유학까지 보내줄 수 있는 종목 세개, 삼성전자, 태평양화학, 한미약품을 추천해준다. 반면, 은행 직원이었던 성동일은 KOSPI가 1,000p를 돌파한 건 말도 안된다면서 17%짜리 금리 상품에 넣어준다고 자신에게 돈을 가져..
-
다시보는 인구 대변화리포트 정리/2021년 2021. 7. 13. 19:00
다시보는 인구 대변화 (유진투자증권 - 허재환) 1. UN 장기 인구전망 약점을 보완한 IHME 전망 크게 엇갈리는 세계 인구 전망 2020 년 7 월 美 시애틀 소재 University of Washington 산하 IHME(Institute of Health Metrics Evaluation) 에서 2100 년 인구 전망을 공개. 동 인구 전망은 UN 세계인구 전망과 상당한 차이를 보임. - UN 세계 인구 전망에서는 현재 78억 명인 세계 인구가 2100 년 108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 UN 인구 전망은 주로 과거 추세가 계속 이어진다는 전제 - IHME의 인구 전망은 여성 교육과 피임에 따른 출산율 변화를 가정한 미래 예측 모델을 사용. - IHME 전망에 따르면 전세계 인구는 현재..